2019년 2월 20일 수요일

conda vscode 연동 설정

1. 명령 팔레트 선택





2. 아래 명령어 입력

3. 아나콘다 경로의 파이썬을 선택 


Conda python path 설정


1. vi .zshrc (OR vi .bash_profile)


2. export PATH="/Users/jaehoojeon/anaconda3/bin:$PATH" 입력
3. esc
4. wq
5. source .zshrc (OR source .bash_profile)

vscode 한글 설정

1. shift + cmd + x : 확장 프로그램 검색 실행
2. "korean" 입력 후 검색
3. 맨위 언어 확장팩 설치
4. 우측 하단 "restart" 클릭
5. 짜잔~

2019년 2월 11일 월요일

이계도함수(d^2/dx^2) 의 의미.

출처

우리가 흔히 평균변화율을 이를 때 Δx/Δy 로 표현을 합니다.
그리고 "x 의 증가량 분의 y 의 증가량" 이라고 말을 하지요.
증가량= 거리, = distance..
중학교 때부터 x 의 거리와 y 의 거리값의 비율을 구하여, 이것을 "기울기" 라는 표준화된 숫자로 "기울어진 정도" 를 표현해 왔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물리학적으로 표현하자면, "평균적인 변화율", 또는 "등속 운동으로 보았을때의 속도" 정도가 되겠네요.
그런데, 이것은 사실 EXTRA 에 불과한것이고..
사실상 더 중요한것은, 한 점(또는 순간)에서의 속도/증가율이라는것이죠. 자동차의 속도계를 볼 때 나타나는 속도는 분명히 그 순간의 속도입니다. 자동차의 속도계가 만약 평균적인 속도를 나타낸다면, 대단히 답답할 것입니다..
하여튼..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미분을 정의하게 되고..
미분이라는것도 결국은 "평균 변화율" 의 극한값이 되는셈인데요..
Δx/Δy 를 dy/dx 로 표현한것에 불과합니다.
(d 가 아마 distance 가 아닐까 생각되네요..)
그런데, 이 dy/dx 는 이중,삼중적인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첫번째 의미는,
dy/dx.. 말 그대로 "y의 순간증가율/x 의 순간 증가율" 이라는것이고..
두번째 의미는,
"x 에 관하여 y 를 미분하라" 는 뜻이 됩니다.

첫번째 의미에서, dy/dx 는 "사실상 나눗셈" 과 같은 연산을 시행할 수 있게 되구요.. (그러나  극한이기 때문에 함부러 나눌 수는 없지요..)
두번째 의미에서, 아래와 같이 변형이 가능하게 됩니다..
dy       d
-- =   --   y
dx      dx

즉, x 에 관하여 y 를 미분하라는 뜻이 강하게 표현된거죠..

이제, 그럼 이계도 함수를 구해 볼까요.
이계도 함수는, dy/dx 를 다시 미분하는겁니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x 의 증가량분에 dy/dx 의 증가량" 이 되고요..
이것을 기호로 표시하면,
d (dy/dx)
-------     
   dx   
이렇게 되죠.. 이것을 첫번째 의미를 이용하여 좀 변형해 보면,
d (dy)
----
(dx)^2
이렇게 되고,
이것이 우리가 흔히 배우는..
d^2y
----
dx^2

이런식으로 변형이 된겁니다.
아래 분자는 당연히 (dx)^2 이라고 써야 하지만.. 귀찮으니까
그냥 dx^2 이라고 표현을 하죠..

그러고서는 .. 저건 기호이지, 분수가 절대 아니다..
이런식으로 얘기하게 되죠.. (사실상 분수 계산을 해 놓고선!!!)
만약 저기서 미분해야 될 y 부분이 복잡해지면..
이를테면, y=x^3+1 이다.. 라고 할 때 이계도 함수를 표현하면

d^2 (x^3+1)                            d^2
----                               =    ----  (x^3+1)
dx^2                                      dx^2
위와 같이 표현하게 되죠..
미분의 기호는 참 멋집니다.. 생각하면 할 수록 멋진 기호죠..
그리고 적분 기호도 살펴보면 볼수록 대단한 의미의 함축이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라이프니츠의 이러한 기호학은 미적분학의 발전을 몇백년 앞당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것입니다. 우리가 고교에서 미적분학을 쉽게 배울 수 있는것도,알고보면 다 라이프니츠 덕분이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