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3월 4일 일요일

ext2 파일 시스템 만들고 마운트[펌글]

http://www.joinc.co.kr/modules/moniwiki/wiki.php/ext2

아래링크에서 dd 명령어로 덤프 이미지 만들때 크기를 50k로 해서 생성한다.
그렇지 않으면 fat파일시스템으로 만들때 오류!
http://www.troot.co.kr/tc/2067

리눅스 파일 시스템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library/l-linux-filesystem/

파일 시스템 분석
http://secuworld.blogspot.com/2009/05/unix-%EB%AA%85%EB%A0%B9%EC%96%B4%EB%A1%9C-%ED%95%98%EB%93%9C-%EC%9D%B4%EB%AF%B8%EC%A7%80-%EC%88%98%EB%8F%99%EC%9C%BC%EB%A1%9C-%EC%83%9D%EC%84%B1%ED%95%98%EA%B8%B0.html

아래는 위 링크 복사한 자료입니다.


Unix 명령어로 하드 이미지 수동으로 생성하기.

파일 시스템(FAT, NTFS, EXT, etc,.) 공부 할 때 실제로 하드디스크를 물리적으로 PC 에 연결하여 일일이 포멧(Format) 하고 덤프뜬 이미지를 사용한다면 여간 번거러운 일이 안일것이다.
Unix 계열의 OS 에서는 쉽게 장치 이미지를 생성하여 마운트(Mount) 시킬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이미지를 만드는데 필요한 일련의 명령어를 통해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아래에서 사용되는 fsstat, istat 등의 프로그램을 얻기 위해서는 sleutkit 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http://www.sleuthkit.org/ 여기에 Unix 용과 Windows 설치 파일이 존제하며 Unix 용으로 mac os x 에서 컴파일이 잘 된다.



// 우선 dd 를 이용하여 만들고 싶은 크기만큼의 Null 파일을 생성한다.

// 이렇게 생성된 파일은 단지 Null 로만 채워진 파일이다.
$> dd if=/dev/zero of=hard.dd bs=1024 count=20000
// 따라서 이런 파일을 장치로 인식시켜야 하는데,
// 먼저 현재 시스템이 사용중인 장치이름을 아래의 명령어로 확인한다.
$> losetup -a

// 내가 사용할 장치 즉, 비어있는 장치이름을 아래 명령어로도 얻을 수 있다.
$> losetup -f

// 이렇게 장치명이 결정되었으면
// 현재 Null 파일인 파일을 디바이스로 인식시키기 위한 포멧으로 변경한다.
$> losetup /dev/loop5 hard.dd

// 그리고 여기서는 ext2 형식으로 파일 시스템을 포멧(format) 한다.
// 다른 파일시스템을 원할 경우 지원하는 다른 형식의 파일시스템으로 포멧 하면된다.
$> mkfs.ext2 /dev/loop5

// 임의의 폴더를 생성하고
$> mkdir hard

// 이미지 파일을 임의의 폴더에 마운트(mount) 한다.
$> mount -o loop hard.dd ./hard

// 이렇게 준비가 모두 끝났다면, 하드 디스크의 정보를 출력하여 확인한다.
$> fsstat /dev/loop5

// 이제부터는 해당 파일 시스템을 분석하면 된다.
// 위에서 포멧한 ext2 파일 시스템의 Root Directory Node 정보를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 istat hard.dd 2

댓글 없음:

댓글 쓰기